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지난 10년간 베트남의 수출의 변화

 

2013~2022년 동안 베트남의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22년 베트남의 총 수출액은 3718억5천만달러로 2021년 대비 10.6% 증가할 것이다.


베트남의 총 수출액은 2010년 1320억3천만달러에서 2022년 3718억5천만달러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10년 후 수출액은 4배 가까이 된다. 전체 기간 동안 베트남의 수출액은 연평균 약 2330억 달러에 달했다.

 

2022년 수출액은 3718억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베트남은 상위 8개 수출품목이 100억달러를 넘어 전체 상품 수출액의 70%를 차지한다. 모든 종류의 철과 강철, 섬유, 방직사, 기계, 장비, 공구 및 예비 부품과 같은 일부 주요 수출 제품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경험했다.

 

성장률을 보면 2013~2022년 수출 증가율은 연평균 12.3%를 기록했다.

 

2013~2015년 기간에는 수출 증가율이 전 기간보다 낮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 기간의 수출 증가는 금융위기와 유럽의 공공부채 위기의 영향으로 산업생산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당시 세계 경제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수출 수요가 감소해 예년에 비해 증가폭이 낮았다.

 

2016~2017년 수출 증가율은 시장 개방 노력, 상품 소비 촉진 개선, 수출 기업 지원 등에 힘입어 반등했다.

 

2019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큰 영향으로 베트남의 수출 증가율이 예년에 비해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2019년과 2020년 수출 증가율은 각각 8.58%, 6.36%에 달했다. 그러나 2021년 베트남의 수출 증가율은 회복되기 시작해 19.5%에 달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 기업들이 전염병 퇴치와 생산·사업 활동을 병행한다는 목표를 잘 이행한 덕분에 2022년 베트남 수출은 회복세를 보였다. 이와 함께 수출시장에서 소비자 수요가 다시 증가해 베트남의 수출액이 전년 대비 증가하는 데 일조했다.

 

최근 몇 년간 수출상품의 구조조정에 반영되어 상품의 수출은 품질면에서 현저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상품군 간 상품구조와 산업화의 핵심을 향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공산품군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농산물과 수산물이 10% 이상을, 연료와 광물제품이 전체 수출액의 1%를 조금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베트남 최대 수출시장으로 전체 수출의 28.6%를 차지하고 있으며 베트남 주요 수출시장 중 가장 큰 수출증가율(전년 대비 24.9% 증가)을 보이고 있다. 또한 미국은 베트남 최대의 수출 흑자 시장으로 2022년에는 흑자액이 1091억달러로 추정된다.

 

또한 2022년에는 수출액 10억달러 이상 품목이 36개로 전체 수출액의 94%(100억달러 이상 수출품목이 8개로 70.1%)를 차지하고 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쉴드AI, 한국 언론 보도에 대한 공식 입장 발표 ‘KF-21과 무관한 계약… 적법한 절차에 따라 체결’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항공 기술 기업 쉴드AI(Shield AI)는 최근 한국 언론 보도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자사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간 체결된 계약이 KF-21 전투기 개발과는 전혀 무관하며, 모든 절차는 한국과 미국의 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쉴드AI는 이번 계약은 민간 기업 간의 비공개 계약이며, 통상적인 비밀 유지 조항 하에 체결됐다면서 KF-21 전투기 개발과 관련한 논의나 협의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고 명확히 했다. 이어 회사는 KAI의 법무 및 조달 부서가 계약 과정 전반에 참여했으며, 모든 절차는 양사 간 수차례 실무 미팅을 거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일부 한국 언론에서 제기된 절차상의 문제와 군사기술 연계 의혹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한 것으로, 쉴드AI는 사실과 다른 추측성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쉴드AI는 한국 방위 산업과의 지속적인 협력 의지도 강조했다. 회사 측은 우리는 한국의 자주 국방과 방산 기술 혁신에 기여하고자 하며, 국내 방산 기업들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KAI와의 계약 이행 및 한국 내 대리인 선임 등 모든 절차는 관

문화연예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