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 한국과 일본의 전자그룹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삼성을 비롯한 대형 외국 전자업체들의 연이은 확장은 2022년 상반기 베트남의 외국인 투자자본 통계를 끌어올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사이공하이테크파크관리공단은 최근 삼성전자 HCMCCE단지(SEHC)의 총 투자자본 8억4100만달러 규모로 사업 확장 허가를 내줬다. 2016년 가동을 시작한 SEHC는 현재 삼성전자 TV 화면과 가전제품 생산지 중 세계 2위 규모다.
한편 삼성엔지니어링은 DNP홀딩스 소속인 DNP워터의 지분 24%를 인수하기 위해 4100만달러를 투입한 후 공식적으로 DNP워터의 전략적 주주가 되었다. 두 회사는 6월 29일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서명했다. DNP수 투자는 삼성엔지니어링이 베트남 수처리 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다. 경험과 경쟁력으로 폐수처리장을 개설한 뒤 주변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1970년 설립된 삼성엔지니어링은 상·하류 탄화수소 설비, 발전소, 상하류 수·폐수처리장, 산업생산시설 등 모든 엔지니어링 서비스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혔다.
삼성은 지난 2월 북부 타이응우옌성의 전기기계 베트남 프로젝트에 9억2천만달러를 투입, 공장 전체 투자액을 22억7천만달러로 끌어올렸다. 이 시설은 주로 메인보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카메라 모듈, 전원 어댑터, 터치 센서 모듈, 리니어 모터와 같은 부품과 예비 부품을 제조하고 조립한다.
이러한 자본 조정을 감안하여, 삼성은 총 200억달러 이상을 베트남에 투자했다. 몇 년 전에 논의되었던 200억 달러를 베트남에 쏟아붓겠다는 삼성의 계획은 이제 실현되었고, 삼성은 계속해서 베트남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 목록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획투자부 산하 외국인투자청이 발표한 이 수치는 올 상반기 첨단기술 부문과 전자부품 생산 측면에서 많은 대규모 추가 자본 프로젝트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올해 상반기 베트남의 등록 외국인 투자 자본은 140억3천만달러에 달했다. 이중 가공·제조업은 총 투자액이 88억4천만달러에 육박해 전체 등록투자자본의 63%에 육박하며 지속적으로 선두를 달렸다.
상반기 투자자본 조정을 위해 등록된 사업은 487건으로 같은 기간 5.9% 증가했으며, 추가 등록자본 총액은 68억2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5.6% 증가했다.
삼성의 뛰어난 각인과 함께, 올해 3월 중국의 괴르텍은 박닌의 꾸에보 산업단지에 위치한 전자 및 멀티미디어 장비 공장의 투자 자본을 3억600만달러로 확대한 투자 증서를 받았다. 괴르텍은 2013년부터 베트남에서 운영 중이며 지금까지 박닌성과 중부 응에안성에 2개의 시설을 설립했다. 괴르텍은 또한 응히록 지구에 기반을 둔 WHA 산업 구역 1-응에안에 전자 제품, 네트워크 장비 및 멀티미디어 오디오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장 프로젝트의 1단계 공사가 거의 끝나가고 있다.
지난 6월 20일 괴르텍 비나의 요시나가 가즈요시 총괄이사는 "진행은 양호하며 2023년 초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1단계 공사는 98% 완료됐으며 본격 가동되면 약 5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