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5.9℃
  • 맑음강릉 16.6℃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7.7℃
  • 맑음대구 16.9℃
  • 맑음울산 13.7℃
  • 맑음광주 17.4℃
  • 구름조금부산 15.2℃
  • 맑음고창 15.3℃
  • 구름많음제주 14.3℃
  • 맑음강화 12.8℃
  • 맑음보은 16.3℃
  • 맑음금산 16.0℃
  • 구름조금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6.0℃
  • 구름조금거제 14.1℃
기상청 제공

굿모닝베트남미디어

[밀크차음료시장] 건강에 좋지 않지만 대형 밀크티 체인은 여전히 연간 수천억 동을 번다.

KOI의 수익은 의외로 푹롱을 압도한다.

밀크티 사업 분야는 최근 몇 년 사이 푹롱, 토코토코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차별화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공차, 보바팝, 딩티 등 업계 주요 브랜드들은 후퇴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3-4년 전 가장 호황기였던 밀크티 시장은 식었지만 여전히 매력이 있다. 밀크티 체인점들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음료 부문에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여 커피 체인점을 긴장케 한다.

 

밀크티 브랜드의 주요 타깃 고객은 밀레니얼 세대와 Gen Z세대로, 인구의 큰 비중을 차지하며 소비도 불사하는 젊은 고객층이다. 이들은 기업에게 비옥한 땅을 열어주고, 적절히 이용한다면 큰 잠재력이 되고 있다.

 

지난 5년 동안 베트남 젊은이를 '열광'시킨 밀크티 브랜드 푹롱이 부상했다. 푹롱은 유명한 차 지역인 바오록(람동성)에서 유래해 2015년 10개 점포에서 2019년 70개 점포로 빠르게 확장했다.

 

지난해 체인점 매출은 7790억 동으로 65% 증가했고, 동시에 더커피하우스나 스타벅스같은 톱커피 체인들과 비스했다. 그러나 푹롱은 순이익이 160억 동에 불과해 아직 그다지 높은 효율성을 갖추지 못했다. 예년에는 매출액이 최대 수천억 동에 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징적으로 몇 십억동의 이익을 냈다.

*업체 매출액(단위 :10억동/약43100달러)

 

푹롱은 밀크티 업계의 다른 사업과 비교했을 때 월등하다. 그러나 토코토코의 성장도 두드러졌다. 이 브랜드의 연간 매출은 2019년 2380억 동에 달할 정도로 두 배 이상 성장했지만 수익은 미미하다.

 

지난해 더 코이 카페 브랜드도 토코토코와 비슷한 2440억 동의 매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성장률은 많이 둔화됐다. 더 코이 카페의 하이라이트는 70%가 넘는 높은 이익률이다. 토코토코가는 50%를 넘고 푹롱은 35%에 불과하다. 

 

덕분에 2017-2018년 동사의 당기순이익은 약 400억 동으로 최대 경쟁사인 푹롱을 크게 앞섰다. 하지만 2019년 결과는 갑자기 140억 동으로 떨어졌다.

*업체 년도별 이익(단위:10억동/약 42100달러)

 

공차, 보바팝, 딩티 등 대형 밀크티 브랜드를 통해 지난해 모두 밀크티 산업이 모두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분업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차맛의 강점을 지닌 푹롱 역시 고객들에게 입지가 좋아 점점 좋아져 경쟁사로부터 시장점유율까지 차지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서서히 부상했는 쉐어 티는 지난해 350억 동의 매출에 130억 동의 적자로 적자폭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딩티도 지난 2년간 20억-30억 동에 이르는 손실을 보고했다.

 

많은 밀크티 브랜드들은 일정한 성공 후에 프랜차이즈를 했기 때문에 모회사의 사업 성과가 시장에 그 브랜드의 크기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토코토코가 말했듯이 전국에 약 300개의 점포가 있으며, 70%가 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또는 공차처럼 2019년 말까지 점포는 50여 개, 프랜차이즈율은 약 40%이다.

-CAFEF-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