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국회는 8일(월요일)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승인했다. 이것은 중국을 떠나려는 제조업체들의 새로운 투자처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움직임이다.
EU-베트남 자유무역협정(EVFTA)이 만장일치로 승인됐으며 정식 비준에 이어 이르면 8월 발효된다. 이 무역 협정으로 베트남은 이미 EU의 비준을 받은 싱가포르에 이어 두 번째로 유럽 블록과 이 같은 무역 협정을 맺은 동남아 국가가 됐다.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투표에서 457명의 의원 전원이 무역협정에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투표 대상자 중 94.62%의 국회의원이 FTA를 찬성했다.
국회뉴스는 투표 전 홈페이지를 통해 "국회 의원들의 관심을 끈 이슈 중 하나는 베트남이 COVID-19 대유행 이후 경제활동 방식을 바꾸고 유럽시장에서 고객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또한 "혜택과 함께 EVFTA도 일부 도전도 제게했다. 이 웹사이트는 또 "EVFTA는 베트남 기업, 상품, 서비스에 대해EU로부터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경쟁적 압력을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이 협정이 발효되면 베트남에서 EU로 수출하는 물량의 71%가 면세품이 되고,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물량의 65%도 면세품이 된다. 나머지 최대 99%의 관세는 하노이가 10년에 걸쳐, 브뤼셀이 7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폐한다.
베트남은 약 9600만 명으로 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인구가 많다. 2019년 1인당 GDP는 약 3,500달러로 추산된다. 자동차와 가전제품을 가지려는 경향이 있는 기준점인 3,000달러에서 상위를 차지했다.
하노이는 이미 EU의 우선 관세제도로부터 혜택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무역 협정으로 인해 이 블록은 현재의 15%에서 베트남 상품에 대한 더 큰 구매자가 될 것이 확실하다.
특히 베트남 전체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의류와 신발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은 중국과 방글라데시에 이어 세계 3위의 의류 수출국이다.
베트남 섬유업체들이 EU 시장 진출을 준비했다. 이 블록은 협상이 발효되면 베트남 섬유·의류 수출의 77.3%에 대해 5년 후 관세를, 나머지 22.7%는 7년 후 관세를 철폐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업계의 많은 기업들은 최근 EU와 미국의 파트너들과의 계약이 취소되거나 연기되거나 축소되었다고 주장한다. 베트남 의류업계는 지난 3월 회원 70%가 감원 권유를 받았으며 4, 5월에는 감원해야 하는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며 모든 기업이 대유행의 영향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번 무역 협정이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전 7% 성장보다 둔화될 것이 확실시되는 베트남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베트남은 올해 의류 수출액이 340억 달러로 지난해 390억 달러에서 감소했다.
이번 무역협정은 EU 이외의 다국적 제조업체들에게도 희소식이다. 일본 기업 중에서는 유니클로 사업자 패스트리테일링 등 의류업체들이 베트남에 진출하고 있고 자동차·기계 부품업체들은 베트남에서 유럽으로 출하량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 자료에 따르면 하노이의 2019년 EU시장 수출액은 420억달러에 달했고, 블록의 베트남 수출액은 15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노이는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기대가 크다. 기획투자부는 베트남의 EU 수출액이 협정이전에 비해 2025년까지 42.7%, 2030년까지 44.37%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자유무역협정이 2030년까지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을 2.4%, 수출을 12%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짠 뚜안 안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 협정이 베트남의 빈곤 감소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의 유럽상공회의소(European Chamber of Commerce)는 24일 "무역전쟁과 세계적인 유행병이 전례 없는 규모의 정상적인 사업 운영을 방해하고 있어 EVFTA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협정은 유럽과 베트남 기업뿐만 아니라 양측 시민들에게도 진정한 '윈-윈'을 의미한다. 이제 다음 단계는 원활하고 효과적인 이행을 보장하는 것이다"라고 유로참은 덧붙였다.
베트남 상공회의소의 응웬 티 투 짱은 이번 협정이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시장 수요가 감소한 기업들의 수출 활동을 재점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 무역 협정은 EU에게 항공기와 자동차가 포함된 매력적인 소비 시장에 더 큰 접근을 제공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은 2020년 말까지 베트남과의 EU 무역협정에 참여하게 된다. 가레스 워드 베트남 주재 영국대사는 이날 온라인 콘퍼런스에서 이곳 영국 기업들과 만나 양국이 양국간 무역협정을 진행 중이며 연말까지 합의에 이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또한 호주, 중국, 인도, 일본, 뉴질랜드, 한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전체를 포함하는 지역 포괄적 경제 파트너십으로 알려진 자유무역 노력의 일부분이다. 베트남은 이스라엘과의 무역 협정을 준비하고 있다. 현지 기업들은 베트남이 미국과 조속히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니케이아시안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