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부동산 시장은 특히 전세계적으로 COVID-19가 발생하여 베트남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이후 많은 새로운 추세를 보게 될 것이다. CBRE 베트남의 등 드엉 이사는 이러한 추세에 대해 그녀의 의견을 들어본다.
베트남의 부동산 시장대해 어떤 추세를 예상하는가?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앞으로 베트남 부동산 시장을 특징지을 일련의 주요 추세를 기대하고 있다. 옴니채널, 유연근무공간, 지속가능성과 웰빙특성을 갖춘 을 갖춘 건물, 재산관리의 중요성 등이 그것이다.
소매 부문에서 새로운 추세의 중요성을 기술해 줄 수 있는가?
소매 부문에서는 소비는 둔화되나 옴니채널 소매업자들은 소매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COVID-19에 탄력성을 보인다. 옴니 채널은 온라인과 매장 유형을 결합하여 전자 상거래와 전통 상거래가 혼합된 다른 나라에서는매우 친숙하다. 베트남은 온라인 소비에 근접해 왔지만, 이 추세는 적절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베트남 소비자의 사고방식과 그들이 온라인으로 보는 상품의 품질과 실제 사양에 대한 불신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많은 베트남 소비자들은 제품을 집으로 가져가기 전에 보고 입고 싶어한다. 이 같은 수요를 바탕으로 태 저이 이동(모바일월드), 디엔 마이 산, 윙낌 같은 일부 업체들은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주문한 뒤 매장으로 나와 상품을 확인할 수 있는 다기능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그들은 또한 배달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서비스는 카드 결제, 물류,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베트남은 전자제품, 패션, 가전제품과 같이 보존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분야에서는 꽤 잘 하고 있지만, 잡화용품과 식료품을 위한 보존과 저장 시스템, 특히 저온 저장 시스템이 엄청부족하다.
단기적으로는 매출에 타격을 입게 되는데, 식음료, 오락 등이 가장 취약하다. 소매업자들은 일반적으로 관망하는 분위기며 현장 방문과 문의가 크게 줄었다. 이것은 새로운 쇼핑몰의 사전 임대도 어렵게 할 것이다. 일부 소매상들은 건물주에게 발병 기간 동안 임대료를 50%까지 낮추거나 임대료를 면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소매업계가 심각한 단기 역풍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CBRE는 이 부문이 여전히 매력적인 장기 투자 기회로 남아있다고 믿고 있다. 쇼핑 센터를 경험 센터로 계속 전환하려면 강력한 운영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이것은 소매 자산에 대한 경쟁이 덜 치열할 것임으로 확실한 소매 경험을 보유한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 줄 것이다.
오피스 임대 부문은 어떠한가?
우리는 이번 발병이 많은 시장에서 유연한 근무와 빠른 업무의 가능성을 시험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창출할 것으로 믿는다. 최근 몇 주 동안 COVID-19의 확산을 늦추기 위해 싱가포르, 홍콩 SAR, 마카오 SAR, 중국 본토, 일본, 한국의 정부와 민간 부문은 사회적 접촉을 제한함으로 직원들이 집에서 일하도록 지시하거나 권장하고 있다. 일부 회사들- 특히 직원들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와 인터넷 연결만 요구하는 회사들-은 이 실험이 비교적 성공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가정에서 일하는 직원들 간의 생산성과 협업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지만, CBRE는 이 대규모 실험을 통해 이후 기업들은 유연한 재택근무의 정책 채택을 가속화할 것으로 믿고 있다.
앞으로는 또 어떤 새로운 트렌드가 나타날까.
사용자들이 직원의 건강과 복지를 중요하게 생각함에 따라 지속가능성과 웰빙 기능을 갖춘 건물에 대한 수요는 더욱 강해질 것이다. 직원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한 실내 공기 품질, 환기 시스템, 배수 시스템 및 기타 실내 환경 특성과 같은 이러한 특성들은 장기적으로 더 강한 수요로 이끌 것이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더 많은 LEED와 WELL 인증을 받은 건물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이번 사태로 기업들은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를 재평가하게 될 것이며, 특히 중요한 비즈니스 기능 및 필수 직원들에 대한 백업 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욱이 재산관리는 더욱 두드러질 것이다. 개별 입주자 수준에서 위생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면 사무실 환경에 대한 보다 빈번하고 엄격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게 되며, 특히 전화나 키보드 같은 하드웨어와 함께 식당이나 화장실 같은 공유 영역은 더욱 그러하다. 위생에 대한 우려는 사무실 관리자들이 이를 직원들에게 전달하면서 높은 청결도가 유지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자산관리자들은 특히 카페, 소매, 민첩한 공간과 같은 편의시설을 포함하는 부동산의 경우 세입자와 직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기존의 위생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빅 데이터, 4차 산업, 사물인터넷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의 주류 채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미 강력한 투자자의 관심 대상인 데이터 센터는 만약 회사가 직원들이 집에서 더 규칙적으로 일을 하도록 허용하기로 결정한다면 더욱 두드러진 역할을 할 것이다.
이것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수요와 데이터 사용량 증가를 이끌것이며, 데이타 중심 기초를 강화시킬 것이다.
(출처:V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