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20억 달러 규모의 슈퍼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특별 방안과 우대 정책을 제시했다.
이는 호치민시 인민위원회가 7월 8일 총리에게 슈퍼 데이터센터 사업 접수를 위해 제출한 내용의 일부이다. 구체적으로 호치민시는 G42 테크놀로지 주식회사(대주주는 아랍에미리트(UAE) 국가투자펀드(SIF)와 마이크로소프트), FPT, 비나캐피털 투자펀드, 비엣타이 투자그룹 등 투자자들로부터 AI 개발 전용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사업 투자 제안서를 접수했다.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프로젝트는 아시아 및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에게 포괄적인 인공지능 솔루션과 첨단 인프라를 제공하며, AI 팩토리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며, 도시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GDP 성장에 기여하며,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확대하고 수천 개의 고품질 일자리를 창출하여 호치민시의 정보 기술 인력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몇 가지 법적 및 제도적 문제에 직면했고,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총리에게 해당 문제들을 해결할 것을 건의했다.
호치민시는 데이터 모니터링 및 검색 관련 일부 규정 등 국내 및 국제 법적 체계 간의 동기화 부족이 투자자들이 국경 간 데이터 저장을 허용하는 국가로 이전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싱가포르가 시행하고 있는 방식과 유사한 국제적 사업 모델을 가진 프로젝트에 특별 제도를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싱가포르는 데이터를 국내에 저장할 필요 없이 국경 간 데이터 저장 및 검색을 허용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기업은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준수하는 한 해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국경 간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운영에 도움이 된다.
호찌민시 인민위원회는 또한 보안을 강화하고 국가 안보 기준을 동기화하기 위해 온프레미스 정보 기술 인프라 대신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사용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고려할 것을 제안했다.
G42 테크놀리지 합작주식회사는 2018년 아부다비(UAE)에 설립되었으며, 인공지능 솔루션 및 모델,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인공지능 분야를 전문으로 한다. G42는 현재 204MW 용량의 24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파트너사로서 2029년까지 6개국에 500MW 규모의 데이터 센터를 확장할 계획이다.
과학기술부(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5월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전국적으로 12개 기업에 속한 41개의 상업용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설계 용량은 221MW이다.
비엣텔(Viettel)은 4월 동남아시아 10대 데이터센터 중 하나인 140MW 설계 용량의 데이터센터 건설을 시작했다. 센터는 호치민시에 약 4헥타르 규모의 부지에 건설되며, 약 1만 개의 랙 캐비닛을 설치할 수 있고, 2026년 1분기부터 1단계 운영할 것이다. 완공 시 베트남 최초로 100MW 이상의 용량을 달성하는 데이터센터가 될 것이다.
3월에는 샤크 루이스 응우옌(Shark Louis Nguyen)의 미국 사모펀드인 사이공 애셋 매니지먼트(SAM)가 호치민시에 SAM 디지털허브(SAM DigitalHub)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이 데이터 센터는 베트남-싱가포르 산업단지(VSIP)(구 빈증성) 내 50헥타르 부지에 150MW 용량, 최대 15억 달러의 총 투자금으로 건설될 것이다. 프로젝트는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첫 번째 시설은 2년 후 가동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