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굿모닝베트남미디어

V스마트 2020년 베트남에서 세 번째의 판매량을 예측

베트남 스마트폰 브랜드 V스마트은 2020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중국 브랜드를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조사기관인 IDC인도차이나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4분기(Q4) 베트남 스마트폰 시장에서 V스마트는 샤오미와 화웨이를 밀어내고 3위를 차지했다. 양대 스마트업체인 삼성과 오포에는밀렸다고 한다.

 

IDC인 인도차이나의 2019년 4분기 출하량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4분기 시장점유율은 29.9%로 1위, 오포가 19.1%로 그 뒤를 이었다.  두 외국 브랜드가 2019년 내내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했지만 4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크게 떨어졌다. 베트남의 스마트폰 브랜드인 빈스마트(VinSmart)는 샤오미(Shiaomi)보다 훨씬 높은 12.4%의 시장점유율로 3위에 올랐다.

 

2011년 4분기 베트남에서 판매된 스마트폰은 약 509만 대로 전 분기 대비 33.9% 증가했다. 2019년 베트남에서 스마트폰 총 출하량은 1640만 대였다. IDC 인도차이나의 응우옌 람은 하노이타임스에 2020년 베트남에서의 스마트폰 총 출하량은 2019년의 6.7%에 비해 3.6%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V스마트가  베트남에서 좋은 기반을 계속 유지하며 2020년에는 출하량 기준으로 3-5위 안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1월 빈스마트 리서치앤제조사는 1단계 사업을 마친 뒤 하노이 호아락 하이테크파크에 새 생산라인을 설립했다. 1단계에서는 연간 2600만 대, 설비가 풀가동되면 연간 1억2500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Vsmart가 중국 브랜드를 앞지른 이유는 시장 수익과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라이브 모델의 50% 가격 할인,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빈홈즈 거주자에게 10만 대의 V스마트 브랜드폰을 무료로 배포, 특히 개당 150달러로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RealMe, Xiaomi와 같은 경쟁사들에 비해 가격이 더 낮은(비슷하게 더 낮은) 가격 책정의 도입이라고 그는 말했다.

 

V스마트가 현재 빗텔과 파트너십을 맺기 위해 협의하고 있다는 소문이 시장에 나왔다. 이는 정보부와 통신부(MIC)의 휴대전화 보편화 계획과 함께 베트남에서의 스마트폰 판매량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MIC는 모바일 서비스 패키지와 미리 설치된 모바일 앱을 가지고 1대당 50만 동(미화 21.5달러)의 엔트리 레벨 가격 모델로 100% 스마트폰 보급률을 계획하고 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쉴드AI, 한국 언론 보도에 대한 공식 입장 발표 ‘KF-21과 무관한 계약… 적법한 절차에 따라 체결’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항공 기술 기업 쉴드AI(Shield AI)는 최근 한국 언론 보도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자사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간 체결된 계약이 KF-21 전투기 개발과는 전혀 무관하며, 모든 절차는 한국과 미국의 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쉴드AI는 이번 계약은 민간 기업 간의 비공개 계약이며, 통상적인 비밀 유지 조항 하에 체결됐다면서 KF-21 전투기 개발과 관련한 논의나 협의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고 명확히 했다. 이어 회사는 KAI의 법무 및 조달 부서가 계약 과정 전반에 참여했으며, 모든 절차는 양사 간 수차례 실무 미팅을 거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일부 한국 언론에서 제기된 절차상의 문제와 군사기술 연계 의혹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한 것으로, 쉴드AI는 사실과 다른 추측성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쉴드AI는 한국 방위 산업과의 지속적인 협력 의지도 강조했다. 회사 측은 우리는 한국의 자주 국방과 방산 기술 혁신에 기여하고자 하며, 국내 방산 기업들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KAI와의 계약 이행 및 한국 내 대리인 선임 등 모든 절차는 관

문화연예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