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의 성장 잠재력에 큰 기대를 걸고 있으며, 그 중 근로자들의 기술과 근면함을 높이 평가한다고 한다. 베트남이 가장 유리한 투자처로 꼽히며 한국 투자의 물결이 계속 베트남으로 밀려올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투자사업의 약 90%는 의류, 섬유, 신발 등 경공업의 산업 가공과 제조 분야에 주로 집중하는 중소기업에 의해 진행되었다.
의류와 섬유 분야의 회사인 Naturon에 따르면 베트남은 수년 간 높은 안정적 성장률을 보이는 경제로 베트남 인구는 대부분 젊고 역동적인 사람들이다. 따라서 베트남은 한국 기업의 잠재적인 비즈니스 시장으로 간주되고 있다.
한국 정부의 새로운 남방정책은 일반적으로 ASEAN과 특히 한국은 베트남을 우선시하는 시장 중 하나로 결정했다. 특히 2015년 베트남-한국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뒤 양국 간 교역이 크게 늘었다. 양국 관계는 교역뿐 아니라 투자와 서비스 분야에서도 더욱 강화되고 포괄적이 되었다.
품질에 관해서는, 한국의 투자 프로젝트가 매 기간마다 베트남의 외국인 투자 유치 목표를 꽤 잘 충족시키고 있다. 성장을 위한 자본을 만족시키는 것 외에도, 한국의 프로젝트들은 상당히 높은 기술, 인적 자원 개발을 지원하고, 국내 기업의 수출 생산 가치 분야에 참여하고 있다.
수십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에서 초소형 사업에 이르기까지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하는 폭이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전에는 전자부품 부문이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주요 분야였다. 현재, 소매, 금융, 녹색 에너지, 부동산 등 다른 분야들도 한국에서 많은 자본을 유치했다.
특히, 최근, 식품 가공 산업은 많은 한국 투자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예를 들어 CJ그룹은 베트남의 대형 식품 가공 업체인 Cau Tre Export 합작회사 와 Minh Dat 회사의 지분율을 각각 높였다.
베트남은 현대 기술, 환경 친화적, 우수한 관리 기술, 국내 기업과의 연계 준비가 된 프로젝트에 높은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갖게 될 것이다. 이것은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시장, 특히 한국이 산업, 기술, 부품 제조와 같은 강점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베트남은 항상 한국으로부터 큰 무역적자를 가져왔다. 양국 정부는 무역수지를 안정시키기 위해 의복, 섬유, 신발, 해산물, 목제품 등 베트남이 한국에 유리한 상품을 더 많이 수출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베트남은 국내 기업이 베트남에서 내수 및 수출을 위해 보조제품과 반제품 생산에 투자할 수 있는 보다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