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연예

[유적발굴] 한국, 베트남 안장성의 옥에오 고고학 유적지 발굴

 

베트남과 한국의 고고학자들은 옥에오(Oc Eo) 문화의 더 많은 발견을 탐구하기 위해 안장성 꾸우롱델타 지방에 있는 고단상(Gò Danh Sang) 유적지에서 발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유적지는 토아이송(Thoại Song) 지역의 옥에오(Óc Eo) 마을에 있는 옥에오-바테(Ba Thê) 고고학 유적지의 일부이다. 그것은 3개의 구멍으로 구성된 300평방미터의 면적이다.

 

이 프로그램은 메콩강 하류 유역과 한반도 남부 지역 주민이 고대 해상 무역로에 미치는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안장성의 옥에오 문화유물관리위원회와 한국 과학단체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연구 협력 사업의 일환이다.

 

이번 발굴은 관리위원회, 호치민시 인문사회대학(USSH), 대한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조선문화재연구소 소속 고고학자와 연구원들이 진행한다.

 

관리위원회 으우옌후우지엥 이사는 “고고학적 발굴의 목표는 고단상(Gò Danh Sang) 유물 유적지는 물론 바테(Ba) 산기슭 남동쪽에 있는 옥에오(Óc Eo) 주민들의 분포, 특성 및 생활에 대해 더 많은 것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는 옥에오-바테 고고학 유적지에 대한 고단상(Gò Danh Sang)의 상태와 역할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는 “이후 관리위원회는 옥에오-바테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인정을 위한 과학 서류를 완성하기 위해 국제 기념물 및 유적지 협의회(ICOMOS)의 요구 사항에 따라 발굴을 확대하도록 정부에 제안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대한문화재연구소 이영철 원장은 고단상 유물이 한국 연구와 관련된 종교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고고학 발굴에 대한 협력이 옥에오-바테 고고학 유적지의 세계문화유산으로의 인식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단상(Gò Danh Sang) 유물 고고학 발굴은 1월 24일까지 계속된다.

 

본 연구와 과학 연구를 위한 모든 자금은 한국 과학 단체의 후원을 받는다. 관리 위원회는 모든 발견을 보존 및 보호하고 발굴 현장의 과학 연구에 대해 USSH와 협력할 책임이 있다. 현장에서의 발견과 연구는 국제 전시회와 출판물에 소개되어 옥에오(Óc Eo) 문화를 세계에 홍보할 것이다.

 

 

고대 푸남 왕국의 옥에오 문화는 1944년 현재의 옥에오 마을인 바테산(Ba Thê Mountain)에서 발견된 유물을 통해 처음 발견되었다. 현재 찌똔(Tri Tôn) 및 띤비엔(Tịnh Biên) 지구와 기타 여러 도시에 위치한 안장(An Giang) 전역에서 80개가 넘는 옥에오 문화 고고학 유물이 발견되었다.

 

옥에오-바테는 가장 중요한 유물 유적지이다. 이곳은 2000년 전 한때 강력했던 푸남(Phù Nam) 왕국의 번영한 상업 항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지는 총 433.2헥타르의 보호 구역을 갖고 있으며 바테 산 경사면과 기슭의 A 구역과 오에오의 B 구역으로 구분된다.

 

각종 건축유적, 종교건축물 매장유적, 주거지 등 약 40여 점의 문화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발굴 및 보존된 대표적인 기념물로는 린손절(Linh Sòn Pagoda) 지역의 기념물과 고까이메(Gò Cây Me) 및 고까이티(Gò Cây Thị) 유적지가 있다. 이 유적지는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국가특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베트남은 옥에오-바테(Oc Eo - Ba Thê) 고고학 유적지에 대한 요약 보고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하여 세계유산 프로필 잠정 목록에 포함시킬 것을 요청했다.

 


베트남

더보기
[베트남 사랑] 달랏에 머물며 행복의 소리를 듣다
8월 쏟아지는 비 속에서 쓴맛 나는 커피를 마시며 하얀 계곡을 바라보는 최영숙 박사의 눈빛에는 달랏의 꽃과 안개 속에서 행복의 목소리를 듣는 결의가 서려 있다. 한국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직을 포기하고 베트남 달랏으로 이주한 최영숙 박사(전 대구대 교수)는 장애아동 교육에 평생을 바치기로 한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남편 권장수 씨와 함께 수십억 동을 투자하며 현지 장애아동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영숙 박사는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 부총장 임명 준비 단계에 있었으나, 2007년 베트남 방문 후 모든 것을 바꿨다. 람동성 교육훈련부와 달랏 농아학교, 지적장애아동학교 교장단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의 열악함을 목격한 것이 계기였다. "시설 부족, 전문 커리큘럼 부재, 그리고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내 인생의 모든 결정을 바꿔놓았다"고 최 박사는 회상했다. 그녀의 결심에 남편 권장수 씨(한국 자동차 사업가)도 동참했다. 성공적인 사업을 접고 2009년 중반 베트남으로 이주한 권 씨는 "아내가 불우아동 돕는 의미 있는 일을 원한다고 하자, 망설임 없이 결정했다. 많은 이들이 이상하다고 했지만, 우리는 항상 함께해야 했다"고 말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