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기 태풍이 다낭-칸호아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예보에 따라, 총리는 예방 조치를 취하고 최악의 시나리오를 예상하여 최고 수준의 예방, 회피 및 대응 조치를 취할 준비를 요청했다.
이 태풍은 상륙 시 10~12단계의 강풍을 동반하며, 최대 14~15단계까지 돌풍을 일으킬 수 있다. 국립수문기상예보센터(NCHFM)의 예보에 따르면, 오늘 오전 8시 기준 칼매기의 중심은 필리핀 중부 지역에 있었으며, 중심 부근에서 가장 강한 바람은 13단계(시속 134~149km)로 최대 16단계까지 돌풍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했다.
11월 5일 아침, 갈매기는 동해로 이동하며 2025년 동해에서 발생하는 13번째 태풍이 될 것이다.
동해에 진입한 후, 13~14단계까지 계속 강화되어 16~17단계까지 돌풍을 일으키며 중부 및 남중부 지역의 해상과 내륙으로 이동할 것이다. 태풍은 13~14단계까지 강해지고, 쯔엉사 특별구역(칸호아)과 다낭-칸호아 근해에서는 16~17단계까지 돌풍을 일으킬 수 있으며, 리선 특별구역을 포함한 연안 해역에서는 12~13단계의 강풍과 15단계 이상의 돌풍을 일으킬 수 있다.
6일 저녁 또는 11일 밤부터는 다낭-칸호아에서 내륙 지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태풍 중심 부근에서는 10~12단계의 강풍이 불고, 14~15단계까지 돌풍을 일으킬 수 있다. 중부 고원지대에는 8~9단계의 강풍이 불 수 있으며, 최대 11단계까지 돌풍이 불 수 있다. 하띤-칸호아 지역은 폭우 또는 매우 강한 비가 내릴 수 있다.
이번 태풍은 매우 강하며, 동해에 진입한 후 계속해서 강해지고 있으며, 강풍 발생 지역이 매우 넓다.
▶ 제 13호 태풍 갈매기 세력 확장, 내일 동해 진입
오늘 아침 필리핀 중부에 진입한 태풍 갈매기는 레벨 13을 유지하다가 동해에서 레벨 14까지 세력이 커지고, 꽝아이에서 닥락까지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립수문기상예보센터는 오늘 오전 7시 기준 태풍 갈매기의 중심이 필리핀 중부에 위치했으며, 최대 풍속은 레벨 13으로 시속 149km에 달하고, 최대 풍속은 레벨 16까지 상승하며 시속 약 20km로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내일 아침 일찍 태풍 갈매기는 동해에 진입할 예정이다. 오전 7시 동해 중부 동쪽 해상에서는 바람이 가장 강해 13단계로 불겠고, 돌풍은 16단계까지 불면서 서북서 방향으로 시속 25km의 바람이 불겠다.
11월 6일 오전 7시, 태풍 중심은 자라이성 해안에서 약 500km 떨어진 동해 한가운데에 위치하여 최고 풍속 14에 도달하며, 돌풍은 17까지 올라갈 것이다. 갈매기는 중부 지역을 향해 계속 이동했고, 11월 7일 오전 7시, 꽝아이-닥락 지역에서는 10~11로 약해지고, 돌풍은 13까지 올라 갈 것이다.
일본 기상청은 현재 태풍의 풍속이 시속 144km이며, 필리핀 중부 깊숙이 이동하면서 앞으로 몇 시간 안에 시속 126km로 약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동해 한가운데에 진입하면 태풍은 시속 144km로 다시 강해질 것이다. 홍콩 기상청은 태풍의 중심이 자라이에 시속 155km의 강풍을 동반할 것이라고 예보했다.
태풍의 영향으로 오늘 오후부터 동해 중부 동쪽 해역은 바람이 점차 강해져 6~7단계까지 불다가 8~13단계까지 상승하고 15~16단계 돌풍이 불고, 파도는 5~7m까지 높아지겠다.
11월 5~6일 중 동해 중부(쯔엉사 특별구역 포함) 다낭-칸호아 연안 해역은 12~14단계의 강풍과 17단계의 돌풍, 그리고 8~10m 높이의 파도가 예상된다. 위험 구역에서 운항하는 모든 선박과 구조물은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문기상청(농림환경부)은 갈매기가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동해에 진입하는 즉시 기상청은 매 시간 마다 긴급 태풍 주의보를 발표할 예정이다.
태풍은 아직 멀리 있지만, 기상청은 아직 구체적인 강우량을 예보하지 않았지만, 태풍 발생 전에 뇌우와 토네이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11월 6일 밤부터 9일까지 꽝찌 성에서 닥락 성까지 광범위한 지역에 폭우가 내릴 것으로 경고했다. 꽝찌 성에서 칸호아 성까지 이어지는 하천에 홍수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수문기상국은 "현재 관측 및 예보 데이터는 궤적, 강도, 이동 방향, 강우 중심 지역 및 강우량과 관련하여 여전히 어느 정도 불확실성이 있으며, 향후 며칠 동안 변동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토네이도는 강한 태풍과 함께 발생하는 현상으로, 예측 불가능성, 강한 강도, 그리고 태풍 중심부에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큰 피해를 초래한다. 9월, 태풍 부알로이(Bualoi)가 응에안-하띤(Nghe An-Ha Tinh)에 상륙했을 때, 닌빈(Ninh Binh), 흥옌(Hung Yen), 하이퐁(Hai Phong), 꽝닌(Quang Ninh), 후에(Hue) 등 200~300km 떨어진 곳에서 최소 10개의 토네이도가 발생하여 9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입었다.
올해 초부터 베트남은 12개의 태풍과 5개의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했다.그중 태풍 Wutip, Wipha, Kajiki, Nongfa, Ragasa, Bualoi, Matmo, Fengshen은 북부와 중부 지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폭우와 홍수를 일으켰다.
현재 중부 지역에는 비가 계속 내리고 있으며, Bo와 Huong 강(후에), Vu Gia-Thu Bon 강(다낭)의 홍수 수위는 일주일 만에 약 2m가 줄어들어 홍수 정점에 비해 2단계 경보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어젯밤에는 3단계 경보 수준에 도달했다. 비와 홍수로 38명이 사망하고 6명이 실종되었으며, 물질적 피해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