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4년 만에 캄보디아 소득 추월…고소득 국가로의 도전

  • 등록 2025.10.18 23:19:41
크게보기

1993년 동남아 10위서 2024년 6위로…2035년 상위 중소득, 2045년 고소득 목표

1993년 베트남의 1인당 평균 소득은 170달러로, 동남아 11개국 중 10위에 머물렀다. 당시 필리핀(920달러)의 5분의 1, 캄보디아(300달러)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베트남은 4년 만인 1997년에 캄보디아를, 27년 만인 2020년에 필리핀을 추월하며 놀라운 경제 성장을 이뤘다. 2024년 기준, 베트남의 1인당 소득은 4,490달러로 동남아 6위로 올라섰다.

 

캄보디아 추월까지 4년, 필리핀은 27년

 

세계은행(WB) 데이터에 따르면, 1993년 베트남의 1인당 소득은 미얀마(70달러)를 제외한 동남아 모든 국가보다 낮았다. 하지만 1997년 베트남의 평균 소득은 350달러로 캄보디아(310달러)를 앞질렀다. 이는 1993년 소득이 캄보디아의 절반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4년 만의 역전이다.

 

필리핀은 2020년에 추월했다. 당시 베트남의 1인당 소득은 3,400달러로 필리핀(3,350달러)을 넘어섰다. 이는 1993년 소득이 필리핀의 5분의 1 수준이었던 점에서 27년 만의 성과다. 2024년까지 베트남은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필리핀을 제치며 동남아 11개국 중 6위로 도약했다.

 

32년간 소득 26.7배 증가…동남아 최고 성장률

 

1986년 170달러였던 베트남의 1인당 소득은 2024년 4,490달러로 26.7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캄보디아(8배), 인도네시아(7배), 라오스(7배), 필리핀(5배), 싱가포르(4배), 태국(3배), 말레이시아(3배), 동티모르(3배), 브루나이(2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재 싱가포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의 소득은 베트남의 16배, 8배, 2.5배, 1.5배, 1.1배 수준이다.

 

고소득 국가로의 도전과 중소득 함정

 

정부 전자정보포털에 따르면, 베트남은 현재 소득 수준으로 2030년 이전 상위 중소득 국가 그룹에 진입할 잠재력을 갖췄다. 그러나 중소득 함정은 주요 도전 과제다. WB 기준으로 1,145달러 이하는 저소득, 1,146~4,515달러는 하위 중소득, 4,516~14,005달러는 상위 중소득, 14,005달러 초과는 고소득 국가로 분류된다.

 

팜 홍 쭈엉 교수는 1960년대 101개 중소득 국가 중 2008년까지 13개만 고소득 국가로 전환했다고 언급하며, 베트남이 현대적 시장 경제와 국제 통합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나다 프레이저 연구소의 프레드 맥마흔 박사는 경제 인프라 개선이 생산성과 성장을 높일 것이라며, 베트남의 지난 10년간 6% 평균 성장률이 강점이라고 평가했다.

 

2035년 상위 중소득, 2045년 고소득 목표

 

정부는 2025년 GDP 8% 성장, 향후 10% 이상의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2035년 상위 중소득, 2045년 고소득 국가 진입을 추진한다. 응우옌 찌 둥 부총리는 “앞으로 20년간 두 자릿수 성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립경제대학 쩐 티 반 호아 교수는 제도 완비, 인프라 개발, 민간 경제 활성화, 고품질 FDI 유치, 디지털 전환, 첨단 산업 육성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인구 고령화, 사회보장, 환경, 자원 고갈 등 구조적 문제가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베트남은 글로벌 무역 긴장 속에서 행정 개혁과 기술 혁신을 통해 중소득 함정을 극복하고 고소득 국가로의 도약을 실현해야 한다.

Hang 기자 doanhang038@gmail.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