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식음료(F&B) 산업은 2025년 상반기 매출 406.1조 동(약 154억 달러, 약 20.7조 원)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403.9조 동)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4년 전체 매출의 58.9%에 해당하는 수치로, 레스토랑 관리 솔루션 제공업체 iPOS.vn의 최신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번 매출 증가는 애초 예상했던 두 자릿수 성장률에는 미치지 못했다. iPOS.vn의 브랜드 디렉터 응우옌도안콴(Nguyen Do Anh Quan)은 금요일 보고서 발표 자리에서 “상승하는 비용으로 인해 기업들이 판촉 활동이나 가격 인하를 추진할 여력이 부족했다”며, “소비자 구매력과 운영 비용 간 균형을 반영한 신중한 매출 증가”라고 분석했다.
거시경제적 도전: 인플레이션 압박
인플레이션은 F&B 산업의 주요 걸림돌로 작용했다. 2025년 상반기 베트남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3.27% 상승했으며, 식음료 가격은 3.69%, 돼지고기 가격은 12.75%, 주거 및 공공요금은 5.73% 상승했다. 이러한 비용 인플레이션은 업계 전반의 수익 마진을 압박했다.
iPOS.vn은 2025년 연간 F&B 산업 성장률을 약 9.6%로 전망하며, 이는 기존 예측과 일치한다.
두 번째 정리 물결
6월 30일 기준, 베트남의 F&B 매장은 299,900개로 2024년 말 대비 7.1% 감소했다. 특히 하노이와 호치민시는 각각 11% 이상의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며, 베트남 양대 시장의 뚜렷한 둔화가 관찰됐다.

콴 디렉터는 이를 “산업의 두 번째 정리 물결”로 묘사하며, “재정적 여력 부족이나 불확실한 전망으로 인해 많은 소규모 사업체가 2~3개월 만에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83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34.8%는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했고, 19.2%는 5% 이상 성장했다. 전체적으로 54%의 기업이 전년 대비 매출 성장 또는 안정세를 보였으며, 이는 2024년 동기의 40.2%에서 개선된 수치다. 반면, 17.9%는 매출이 20% 이상 감소해 전년(14.3%)보다 악화됐다.
약 45.3%의 F&B 기업은 상반기에 가격을 5~10% 인상했으며, 이는 원자재 비용 상승(35.4%), 거시 정책 및 세제 변경(21%), 인건비(20%), 임대료(13.7%)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콴은 “효과적인 가격 책정 능력이 적응력의 기준이 됐다”며, “강력한 브랜드 정체성과 충성 고객을 보유한 브랜드는 가격을 인상할 수 있지만, 가격 경쟁에만 의존하는 기업은 생존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강조했다.
초저가 모델의 부상
호치민시에서는 밀크티 7,000 동(약 0.27달러)나 핫팟 세트 69,000 동(약 2.62달러)와 같은 초저가 모델이 상반기에 두드러졌다. 콴은 이를 “낮은 마진, 고강도 게임”이라며, 뛰어난 공급망과 비용 통제력을 갖춘 체인점만이 지속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소비자 행동 변화
하노이와 호치민시의 1,200명 이상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들은 외식을 더 자주 하지만 지출은 보다 신중히 하는 경향을 보였다.
-
점심: 외식하지 않는 비율은 7.4%에서 3.5%로 감소했으며, 30,000 동(약 1.14달러) 미만 지출 비율은 두 배로 증가해 저렴한 외식 수요가 커졌다.
-
저녁: 1인당 100,000 동(약 3.80달러) 이상 지출 비율은 작년 12.4%에서 19.8%로 증가하며 가치 중심의 외식 경험으로 이동했다.
-
주말: 301,000~500,000 동(약 11.4~19달러) 지출 비율은 14.8%, 500,000 동 이상은 9.3%로, 중고급 세그먼트가 수혜를 입었다.
확장 계획과 신중한 소비
2025년 중반 기준, F&B 기업의 67.7%가 확장 계획을 밝혔으며, 이는 2024년 말의 58.4%에서 증가한 수치다. 콴은 “2024년은 신중의 해였고, 2025년은 행동의 해”라며, 어려운 시기를 버틴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해 재투자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신중한 태도는 여전하다. 응답자의 54.4%는 지출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고, 37.9%는 줄일 계획이며, 7.7%만이 지출을 늘릴 계획이다.
콴은 “성장은 고객 수 증가가 아닌, 콤보 메뉴, 경험, 부가가치 서비스를 통한 평균 객단가 상승에서 올 것”이라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