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인 기대수명 74.7세 '장수'지만…마지막 10년은 '질병 동반' 고통

  • 등록 2025.09.18 20:39:01
크게보기

 

베트남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이 74.7세로 동등 생활 수준 국가 대비 높지만, 건강 수명은 낮아 64세부터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트남 의학협회 쯔엉홍손(Truong Hong Son) 부사무총장 겸 응용의학연구소 소장이 18일 하노이에서 열린 '커뮤니티 헬스케어 - 지속 가능한 발전 솔루션' 세미나에서 밝힌 내용이다. 세미나는 인민신문(Nhan Dan)과 펠레시아(Felecia)가 주최했다.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 남성 기대수명은 5위, 여성은 2위를 차지하지만 질병 기간이 길다. 베트남인은 평균 10년을 병치레하며 보내, 건강 수명이 크게 줄어든다. 반면 일본인은 기대수명 86세로, 80세까지 건강하게 지낸다.

 

손 소장은 "베트남 질병 패턴이 50년 전과 달라졌다"며 "과거에는 콜레라·이질 등 감염병으로 사망이 많았지만, 지금은 비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80%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10명 중 8명이 이로 사망하며, 심혈관질환(4명), 암(2명), 당뇨·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각 1명)이 주요 원인이다.

 

그는 "64세 이상 베트남인은 여러 질환을 동시에 앓아 장수하지만 마지막 10년이 다른 나라에 비해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세 가지 주요 원인을 지적했다. 첫째, 불합리한 식단으로 영양실조·저성장 비율이 높고, 과체중·비만이 증가한다. 많은 아동이 비타민A와 미량영양소가 부족해 체력·신장 저하와 비전염성 질환 위험이 커진다.

손 소장은 "형제 중 형은 영양실조, 동생은 과체중인 사례를 봤다"며 영양 지식 부족을 꼬집었다. 영양실조는 단순 식량 부족이 아닌 미량영양소 결핍을 의미하며, 아이들이 배부르게 먹어도 비타민·미네랄(비타민A, 철분, 아연 등)이 부족하면 성장 장애가 발생한다.

 

반면 과체중·비만은 설탕·지방이 많은 '빈 칼로리' 식품(패스트푸드, 탄산음료, 사탕 등) 섭취로 유발되며, 섬유질·비타민이 부족하다. '어릴 때 마르면 나중에 살찐다'는 속설과 달리, 영양실조로 저성장한 아이가 성인기 부적절한 식사를 하면 비만 위험이 더 높아진다. 초기 결핍 보상으로 에너지를 과도히 저장하기 때문이다.

 

둘째, 비전염성 질환이 전체 질병·사망 부담의 3분의2 이상을 차지한다. 흡연, 음주, 과도한 소금 섭취, 채소·과일 부족, 운동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투꽝(Tu Quang) 군의학아카데미 박사는 "바쁜 생활로 초가공식품 사용과 생활 리듬 변화가 잦다"며 "원격근무 젊은이들이 운동 부족, 만성 수면 부족, 스트레스로 건강이 악화된다"고 분석했다.

 

셋째,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로 입원 사례가 증가한다.

 

베트남 정부는 결의안 72에 따라 2030년까지 기대수명 75.5세, 건강 수명 최소 68세 달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은 건강한 식단, 균형 영양, 미량영양소 보충, 운동, 스트레스 회피 등 예방 중심 솔루션을 강조했다.

 

꽝 박사는 "면역 체계가 튼튼하지 않고 건강하지 않으면 쉽게 병에 걸릴 수 있으므로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김영애 기자 rudiaya1964@gmail.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