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Z세대, 음주 거의 없어… 음주 문화 변화 시사: 설문조사

  • 등록 2025.09.14 08:17:48
크게보기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본 젊은층의 거의 절반이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음주 문화의 세대적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도쿄에 본사를 둔 마케팅 회사 Mery Co.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20대 일본인의 44%는 전혀 술을 마시지 않고, 16%는 한 달에 한 번도 마시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에 세 번 이하로 술을 마시는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었을 때, 가장 많은 응답은 "특별한 이유 없음"(33.7%)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부족해서", "술을 안 마셔도 재밌어서", "맛이 없어서" 순이었다.

 

응답자의 약 60%는 직장 동료애를 쌓거나 소통을 개선하는 수단으로 술을 마시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주요 양조업체들의 월간 자료와 일치하며, 8월 맥주 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하여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러한 부진은 많은 소비자들이 더위를 식히기 위해 맥주를 찾는 일본의 더운 여름에 맥주 판매량이 급증한다는 오랜 통념을 반박한다.

 

분석가들은 팬데믹 시대의 생활 방식 변화, 생활비 상승, 그리고 일과 웰빙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젊은 세대의 사교 활동과 소비 방식을 형성하고 있다고 말한다.

 

야마나시가쿠인대학교 사회과학 강사인 스미에 가와카미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인용된 기사에서 "팬데믹이 일본의 음주 문화를 변화시켰다고 생각한다.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노년층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사람들이 외출을 할 수 없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퇴근 후 동료들과 술을 마시는 습관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젊은 세대에게 대학은 종종 술자리를 즐기는 장소였지만, 팬데믹 기간 동안 그런 분위기는 사라졌다고 그녀는 덧붙였다.

 

"그 사람들은 이제 졸업하고 직장 생활을 했지만, 술에 대한 욕구는 전혀 없었다."

 

카와카미는 물가 상승으로 인한 재정적 압박도 한몫했지만, 더 심각한 문제는 직장에서 세대 간 단절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그저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에 가거나, 친구를 만나거나, 취미 생활을 하거나, 무엇이든 자신만의 일을 하고 싶어 한다."

 

"일본의 기성세대에게는 이상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사실 기성세대에게도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더 나은 일과 삶의 균형을 원한다."

Hang 기자 doanhang038@gmail.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