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엣텔, 베트남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10대 기업에 선정, 민간 부문의 챔피언은 테콤뱅크

  • 등록 2025.09.12 20:07:47
크게보기

은행 그룹은 베트남 전체와 특히 민간 부문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상위 10대 기업을 장악

9월 12일, 베트남 리포트(VietNam Report)는 VietNamNet 신문과 공동으로 2025년 베트남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500대 기업을 선정하는 PROFIT500 랭킹을 발표했다.

 

PROFIT500에 포함된 기업의 2024년 평균 세전 이익은 1조 9,610억 동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조사 대상 전체 기업의 평균 7,070억 동보다 약 ​​3배 높은 수치다.

 

이 중 베트남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기업은 군수산업통신그룹(Viettel)다. 2위는 베트남국립산업에너지그룹(PVN)이다.

 

상위 10위권 기업 중 FDI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베트남 타이응우옌(Samsung Electronics Vietnam Thai Nguyen Company Limited)이 3위를 차지했으며, 나머지 6개 기업은 비엣콤뱅크(Vietcombank), BIDV, 비엣틴뱅크(VietinBank), MB, 아그리뱅크(Agribank), 테크콤뱅크(Techcombank), ACB 등 은행이다.

 

 

민간 부문만 놓고 보면 테콤은행(Techcombank)이 가장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다. 상위 10대 민간 부문에는 ACB, VPBank, HDBank, Sacombank, LPBank, SHB가 있다.

 

은행 그룹을 제외하고 상위 10대 민간 부문에는 호아팟 그룹(Hoa Phat Group)과 비나밀크(Vinamilk)라는 두 개의 제조 기업이 있으며, 빈그룹 그룹(Vingroup Group)은 세 은행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PROFIT500 기업 2024년 데이터에서 ROA와 ROE 지표를 분석한 결과, 3개 경제 부문의 순위는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ROA의 경우, FDI 부문은 13.3%로 여전히 선두 자리를 유지했지만, 작년 14.5%에 비해 감소했다.

 

나머지 두 부문은 자산 효율성이 소폭 개선되었지만, 큰 폭의 개선은 없었다. 민간 ​​부문의 평균 ROA는 10.3%를 기록한 반면, 정부 부문은 8.4%를 기록했다(전년 대비 각각 0.2%, 0.7% 증가).

 

 

PROFIT500에 포함된 기업의 평균 자기자본이익률(ROE) 또한 눈에 띄는 변화를 보였습니다. FDI 부문과 민간 부문 모두 2년 연속 자본 효율성이 하락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5년 FDI 기업의 평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8.2%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다른 지역보다 우수한 자기자본이익률(ROE) 창출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큰 폭의 하락은 민간 부문에서 기록되었다(전년 대비 3.3% 감소). 특히 국영 부문만이 ROE가 개선되어 15.7%에서 17.4%로 증가했다. 여전히 3위이지만, 이러한 결과는 국영 기업이 지배구조와 자본 활용 측면에서 진전을 이루어 상위 두 부문과의 격차를 좁혔음을 보여준다.

 

2025년 상반기에 접어들면서 베트남 리포트의 조사 대상 기업 대부분은 사업 성과의 차별화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대비 매출과 이익 성장을 기록했다.

 

재무 보고서를 발표한 PROFIT500 기업 중 64.3%가 올해 상반기 세전 이익 성장을 달성했으며, 이는 조사 대상 기업 평균(59.7%)보다 높은 수치다.

 

전체 시장을 살펴보면, 상당수의 기업이 매출(35.3%)과 이익(38.3%) 모두 감소했다. 이는 시장, 정책 및 사업 환경의 변화에 ​​아직 적응하지 못한 사업 부문이 여전히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세계 경제, 무역 흐름, 국내 규제 정책, 소비자 수요 변화 등 다양한 구조적 변화의 영향을 받는 경제에서 불균형적인 회복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며,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적응하고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기업들의 여러 가지 큰 어려움


베트남 리포트(Vietnam Report)의 설문조사 결과는 기업들이 여러 가지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국제 무역 흐름의 변동과 보호무역주의의 고조는 많은 기업들의 우려 사항이다.

 

기업의 78.9%는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이 사업 운영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베트남과 미국 간의 관세 예비 합의(베트남산 제품에 20% 관세, 미국산 제품에 0% 수입 관세)는 긍정적인 조치로 간주되며, 관세 인상에 직면할 위험을 크게 줄였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기업의 회복력과 적응력을 시험하는 시험대이다.

 

또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관련된 어려움은 생산 비용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세계 경제 성장 둔화는 수출과 투자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 또한 언급했다.

 

환율 상승과 인플레이션 압력은 기업, 특히 수입하거나 차입 자본에 의존하는 기업에게 심각한 위험 요소다.

 

또한, 일부 새로 발행된 정책에는 구체적인 지침령과 통지문이 없어 법적 장벽과 행정 절차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어 기업이 법적 규정을 이행하고 준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정국 기자 jkanglilee@naver.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