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의류 업계, 인력 채용 재개…수출·이익 동반 회복세

  • 등록 2025.08.27 21:40:13
크게보기

국내 섬유·의류 기업들이 올 상반기 수익 회복에 힘입어 대규모 인력 채용에 나서고 있다. 업계 전반이 코로나19 이후 침체기를 벗어나며 고용·수출·실적 모두에서 ‘동반 훈풍’을 맞고 있다는 평가다.

 

TNG 투자무역 JSC는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직원 수가 약 1만 9,700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640명 이상 증가했다. 사이공3그룹(SGI)과 송홍의류(MSH)도 각각 285명, 261명을 새로 충원했다. 이외에도 길리멕스(GIL), 호아토(HTG), 후에섬유(HDM) 등 다수 기업이 수백 명 규모의 신규 고용을 기록했다.

 

 

기업들의 인력 확충은 실적 개선에 따른 자신감에서 비롯됐다. TNG는 지난해 순이익 약 3,150억 동을 거두며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송홍의류는 세전이익 5,440억 동으로 77% 늘었으며, 호아토 또한 2,825억 동을 기록해 66% 증가했다. 일부 기업들은 올해 수십 배 성장을 목표로 잡았다. SGI는 지난해 대비 39배 늘어난 850억 동, 센추리파이버(STK)는 25배 증가한 3,100억 동, 길리멕스는 5배 늘어난 1,500억 동의 이익을 각각 목표치로 설정했다.

 

수출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총국(GSO)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섬유·의류 수출액은 18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 최근 5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 수출은 85억 달러로 17.5% 늘어나며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유럽연합(EU) 수출도 24% 이상 증가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성장이 ▲미국 등 주요 시장의 조기 수입 확대(Frontloading) ▲중국발 주문 이탈 가속화 ▲FTA(자유무역협정) 활용 확대에 따른 결과라고 분석한다. 또한 베트남은 미국 시장에서 약 20%의 일반관세율을 적용받고 있어 중국·인도 대비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시장의 회복세가 더딘 점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된다. 특히 현지화율 제고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준 충족에 뒤처질 경우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다수 기업들은 이미 3분기 주문을 확보했으며, 4분기 생산도 사실상 풀가동 수준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미국 외에도 EU, CPTPP, 중동, 남미, 러시아 등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정국 기자 jkanglilee@naver.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