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베트남 화장품 시장, 韓 기업에 기회 되나?

2024년 25억 달러 규모 예상…친환경·고품질 원료로 승부해야

이정국 기자  2025.09.11 21:20:01

기사프린트

 

최근 베트남 화장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며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24년 시장 규모는 25억 달러(약 3조 4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5년간 연평균 7~10%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현지 생산 및 로컬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소비자 취향 변화: 수입 선호 속 로컬 브랜드 약진, 친환경 원료 각광

 

베트남 소비자들은 여전히 90% 이상이 수입 제품을 사용하지만, 로컬 브랜드의 매출은 연평균 20%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천연·친환경 원료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원료 의존 구조와 한국 기업의 기회: 기능성 원료 수입 의존도 높아

 

베트남은 코코넛, 커피 등 천연자원은 풍부하지만, 기능성 원료의 해외 의존도는 90% 이상으로 절대적이다. 특히 글리세롤, 솔비톨 등 특정 원료의 수입 수요가 확대되고 있어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

 

로컬 브랜드 성장: CoCoon, Nguyen Xuan 등 온라인 판매 강화

 

CoCoon, Nguyen Xuan과 같은 현지 로컬 브랜드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온라인 판매 비중은 2024년 20.2%에서 2027년 24%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 맞춤형 포뮬러 개발이 이들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제조 공장 변화: OEM/ODM 공장 확대, CGMP·ISO 인증 시설 증가

 

베트남에는 100개 이상의 OEM/ODM 공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호치민과 하노이 인근에 집중되어 있다. CGMP·ISO 인증을 갖춘 생산 시설도 늘고 있어 품질 관리 역량 강화가 기대된다.

 

한국 기업의 기회: 친환경·고품질 원료 수출 확대

 

한국산 솔비톨 수입은 2020년 6만 달러에서 2024년 23만 달러로, 글리세롤 수입은 2020년 4만 달러에서 2024년 8만 달러로 두 배 이상 성장했다. 베트남 시장의 이러한 변화는 친환경·고품질 원료를 공급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화장품 시장 공략, 이 5가지에 집중하라!

 

- 급성장하는 시장, 맞춤형 전략으로 성공적인 안착 노려야

 

베트남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2024년 25억 달러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이 역동적인 시장에서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성장하기 위한 핵심 전략 포인트를 짚어본다.

 

1. 친환경·천연 원료 기반의 제품 개발 및 현지화 베트남 소비자들은 수입 제품을 선호하면서도 천연·친환경 원료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코코넛, 커피 등 현지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천연 원료를 활용하거나, 국내의 뛰어난 친환경 원료 기술력을 접목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현지 기후(고온다습)와 소비자들의 피부 특성, 선호하는 향과 제형 등을 고려한 맞춤형 포뮬러 개발을 통해 현지화된 제품으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2. 디지털 마케팅 및 온라인 판매 채널 강화 베트남 로컬 브랜드의 온라인 판매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듯이, 한국 기업들도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 SNS(페이스북, 틱톡 등), 인플루언서 마케팅, 라이브 커머스 등을 적극 활용하여 젊은 소비자층에 접근하고, 쇼피(Shopee), 라자다(Lazada)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 입점을 통해 온라인 판매 채널을 강화해야 한다.

 

3. 현지 인플루언서 및 K-뷰티 전문가 활용 베트남 소비자들은 한국 화장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K-뷰티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 높다. 현지 인기 뷰티 인플루언서와 협업하여 제품을 홍보하고, 한국 뷰티 전문가(메이크업 아티스트, 피부과 의사 등)를 활용한 마케팅을 통해 제품의 신뢰도와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4. 프리미엄 및 기능성 제품 시장 공략 베트남은 기능성 원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만큼, 한국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기능성 화장품(주름 개선, 미백, 트러블 케어 등)이나 프리미엄 제품으로 차별화를 꾀할 수 있다. 특히 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안티폴루션, 피부 장벽 강화 등의 기능성 제품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5. 온·오프라인 체험 및 다양한 채널 융합 전략 온라인 판매가 중요하지만, 소비자들이 직접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접점 또한 중요하다. 팝업 스토어, 뷰티 클래스 운영, 현지 드럭스토어 입점 등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옴니채널 전략으로 고객 경험을 극대화해야 한다.


베트남 로컬 인기 화장품 브랜드와 제품 소개

 

베트남 화장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로컬 브랜드들은 주로 현지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활용하고, 소비자들의 특정 니즈를 충족시키는 제품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1. The Cocoon (더 코쿤)

 

2. Thorakao (토라카오)

 

3. Cocochérie (코코셰리)

 

이 외에도 **Nguyen Xuan (응우옌 쑤안)**과 같이 전통적인 허브를 활용한 헤어 케어 브랜드나, 젊은 감각으로 천연 성분을 내세우는 신생 브랜드들도 꾸준히 등장하며 베트남 로컬 화장품 시장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