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AI 모델 공개

  • 등록 2025.07.16 21:09:45
크게보기

LG그룹 산하 연구소인 LG AI리서치는 7월 15일, 대용량 언어 모델(LLM)과 추론 AI를 결합한 Exaone 4.0 모델을 선보였다.

 

대용량 언어 모델(LLM)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작성하여 빠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반면, 추론 AI 모델은 문제 해결을 위한 가설을 생성하고 검증할 수 있다.

 

현재 하이브리드 AI 모델을 출시한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Anthropic(미국), Alibaba(중국) 등 소수에 불과하다. Exaone 4.0은 국내 최초의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다.

 

Exaone 4.0은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모델은 연구 및 교육 목적으로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인 Hugging Face에 오픈 가중치(Open Weight)로 공개된다. 오픈 가중치는 학습 과정에 사용되는 매개변수를 공개하여 다른 사람들이 다운로드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이다.

 

LG AI 리서치에 따르면 Exaone 4.0은 GPQA-Diamond 테스트에서 75.4점, AIME 2025 테스트에서 85.3점을 기록하며 알리바바의 Qwen 3, 마이크로소프트의 Phi-4-reasoning-plus, 미스트랄 AI의 Magistral-small-2506보다 수학, 과학,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여전히 DeepSeek R1에 비해 뒤처져 있다.

 

LG AI 리서치 Exaone Lab 이진식 소장은 "Exaone을 한국을 대표하는 선구적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LG는 가전, 전기차 배터리, 석유화학에서 통신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2024년 3월, 구광모 회장의 경영 아래 LG는 AI, 생명공학, 청정기술 등 미래 한국 기술에 5년간 74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1월, LG전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하여 가정, 자동차, 호텔, 사무실용 AI 에이전트를 개발했다. 3월에는 IT 서비스 자회사인 LG CNS가 스타트업 코히어와 협력하여 한국 기업에 특화된 모델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LG는 한국 AI 경쟁에서 점점 더 치열해지는 경쟁에 직면해 있다. 이해진 회장의 네이버와 최태원 회장의 SK텔레콤이 경쟁하고 있다. 또 다른 강력한 경쟁자인 김범수 회장의 인터넷 대기업 카카오는 오픈AI와 협력하여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있다.

-로이터

이정국 기자 jkanglilee@naver.com
Copyright gmvietnam Corp. All rights reserved.



굿모닝베트남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새창로 11, 1366호 발행인 : 이정국 | 편집인 : 이정국 | 전화번호 : 02-306-1418 Copyright gmvietna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