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창 기자 2020.06.16 18:27:19
지시 827/QĐ-TTg에 따르면, 빈시는 금융, 상업, 관광, 과학 기술, 정보기술, 첨단 산업, 의료, 문화, 스포츠, 교육, 훈련 분야에서 북부의 중심으로 문명화되고 현대적인 도시로 건설될 것이다.
시는 2020-23년에 연간 10-11% 정도의 부가가치 증가율(2010년 비교가격 기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부가가치(현재 물가 기준)는 응에안성의 GDP의 약 25~30%를 차지한다. 1인당 평균 부가가치는 약14170만 동(6,081달러)이다.
시는 사회발전과 관련해 2023년까지 지역 내 빈곤가구 비율을 0.25% 이하로 낮추고, 빈곤가구의 지속적인 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훈련된 사람의 비율은 70%에 달하며, 그 중 46%은 직업 훈련자이다.
빈시(베트남어: Thành phố Vinh/
빈의 인구는 2009년 기준으로 435,208명이다. 서비스업이 도시 경제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체 노동인구의 약 55%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어 산업(30%), 농업, 임업, 어업 (전체 15%)을 차지한다. 빈은 베트남의 북부와 남부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남중국해에 접한 항구가 존재한다.
빈은 옛날에는 께방(Kẻ Vang)으로 알려져 있었다. 도시 이름이 께빈(Kẻ Vinh), 빈장(Vinh Giang), 빈조아인(Vinh Doanh), 빈티(Vinh Thi)로 바뀌었다가 이후 1789년에 공식 도시명이 빈으로 갱신되었다. (여기에는 유럽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후 현대까지 빈이라는 도시 이름은 바뀌지 않았다. 빈은 종종 군사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거점으로 간주되어 왔다. 베트남이라는 국가는 역사적으로 북부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점차 현재의 영역까지 국가가 확장되어왔다. 이러한 경위에서 빈 때로는 ‘남부의 관문’으로 간주되어 왔다. 떠이선 왕조 시대(1788년 - 1802년)는 빈이 수도가 될 가능성도 있었다고 생각되고 있지만, 떠이선 왕조는 단명한 정권이었기 때문에 계획이 실현될 수 없었다. 떠이선 왕조에서도 빈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수도 건설 발전의 흔적이 남아 있을 뿐이다. 프랑스 식민지 지배 하에서 빈은 공업 도시로 발전하고 공장에서 그 이름을 알려지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빈과 그 주변 지역은 반란과 혁명 활동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19 세기부터 20 세기 초반에는 도시는 프랑스의 식민지 지배에 대항하는 저항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또한, 수많은 혁명 운동가들이 빈 근처에서 태어났으며, 이 중에는 응우옌주, 판보이쩌우, 쩐통킴, 응우옌 티민치(阮氏明開) 그리고 호찌민이 포함된다. 빈에서 서쪽으로 약 14km 지점에 있는 호치민의 생가는 중요한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
빈시는 열대 몬순 기후 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두 개의 뚜렷한 계절이 있으며 계절에 따라 큰 변동이 있다. 평균기온은 24°C, 최고기온은 42.1°C, 최저기온은 4°C, 평균습도는 85-90%이다. 평균 일조시간은 1,696시간이다. 풍부한 일조량이 있어 연평균 120억 Keal/ha, 연평균 강우량 2,000mm는 작물 재배에 적합하다. 바람은 계절에 따라 두 가지 전형을 보이고 있다. 남서풍은 5월에서 9월까지 건조한 바람을 동반하고, 북동풍은 다음 10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지속되며 추위와 습기를 동반한다.
2008년 시로 승격되었고 면적은 105제곱킬로미터, 인구는 55만 명(2018년 기준)이다. -위키백과 |